공모주. 청약부터 매매까지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7/16 상장. 체외 진단 대장주 결정의 날

M J 2021. 7. 14. 17:11

1. 우리사주 배정 물량 줄고 일반공모 물량 늘었다

7월 13일 공모 물량 배정 공시가 끝나면서, 모든 조건이 확정됐다. 기사 상 공모 열기를 고려해 기존 공모주식수의 20%를 할증해 발행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우리사주 청약 물량이 297만 주에서 38만 주로 줄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확히 우리사주 배정 물량에서 2,605,955주가 청약이 되지 않았다. 

 

그림 1. 청약 주체별 배정 물량과 예정 물량과의 차이

우리사주 20% 배정은 처음부터 무리였을 것으로 판단한다. 직원 315명이 우리사주조합을 통해 공모주를 배정받는다면 평균 9,480주를 받게 되며 1인당 4억 9,296만 원이 필요하다. 이 정도면 수 억원 단위 대출이 필요한데 여건상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최종 배정 380,125주를 315명이 받는다면 평균 1,207주에 6,275만 원이 필요하므로 직원 개개인의 재정 부담은 크게 경감된다.

 

문제는 왜 공모 물량이 늘었냐는 점이다. 우리사주 청약이 미달이 났을 경우 미달 분은 개인 청약자들에게 배정할 수 있는데, 최대 공모주식수의 5%를 넘지 못한다. 기존 공모주식수 12,442,200주의 5%(622,110주)로는 우리사주 미청약 물량 2,108,315주를 감당할 수 없다. 아예 공모주식수를 20%(2,488,200주) 늘려 늘어난 개인 배정 물량과 최종 공모주식수의 5%로 최대로 배정하고 나머지를 기관에 배정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 배정 물량은 예정 대비 44.0% 늘어난 4,479,120주가 되었고, 기관 배정 물량은 예정 대비 47.1% 늘어난 10,071,155주가 되었다.

 

2. 공모 물량이 늘어났어도 수급 영향력은 크지 않다.

애초부터 공모주로서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수급 여건은 부담스러웠다. 유통 물량이 기관 확약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31.4%이지만, 주식수로는 31,907,001주, 유통 시총은 1.66조 원에 달한다. 이 부분은 이미 기관 수요예측과 청약 때부터 반영했던 부분이다. 

 

그림 2. 에스디바이오센서 상장 후 주주 구성 변화

늘어난 공모 물량은 기관 확약으로 부담을 경감했다. 공모후 유통 가능 물량은 31.4%에서 32.3%로 0.9% p 늘어났고, 유통 시총 역시 1.66조 원에서 1.73조 원으로 큰 변화는 없다. 물론 공모 물량이 늘어나지 않고 확약 물량을 고려하면 좀 더 매력적인 수급 여건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이나, 이 경우에도 유통 물량 28.3%, 유통 시총 1.49조 원으로 드라마틱하게 수급 여건이 개선된 것은 아니다.

 

그림 3. 공모가 시총 변화

공모가 기준 시가 총액은 5조 2,840억 원에서 5조 3,700억 원으로 1.6% 늘어나는데 그쳤다. 

 

3. 보호예수 미확약 기관 배정액은 리스크 요인

그림 4. 주체별 추정 배정액

이번 공모는 기관의 확약 비중은 11.8%에 불과하나, 수량 비중은 31.5%로 확약한 기관이 3.44배 많이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 확약한 기관의 추정 배정수량은 5,723주로 2억 9,760억 원을 배정받았다. 이는 최근 1년 동안 진행된 공모주 중 미확약 기관 배정 물량 중 가장 많다. 확약한 기관의 경우도 기간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평균 10억 원을 배정받았다.

 

4. 실적 추정 및 밸류에이션

그림 5. 에스디바이오센서 실적 추정

실적 추정은 증권사보다 공격적으로 추정했다. 팬데믹 상황이 델타 변이로 여건이 많이 달라졌다. 남미에서는 람다 변이가 창궐하고 있다. 진단 수요가 다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그림 6. 에스디바이오센서 공모가 기준 주당 지표 및 밸류에이션

공모가 기준 '21년 예상 P/E는 3.6배, '22년 P/E 5.0배, P/B는 '21년 예상 1.98배, '22 1.41배 수준이다.

5. 목표가: 어닝 성장이 불확실하다면 Book value로 보자. 74,000원!

목표가 산정이 어려운 것은 현재가 가진 특수성 때문이다. 실적에 근거해 멀티플을 추정해야 하는데, 향후 실적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고멀티플을 적용하기 어렵다. 올해/내년 실적 추정이 어렵다면, 차라리 Book Value로 바라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현재 주가 기준 씨젠의 21년 예상 P/B는 컨센서스 기준 4.7배이다. 동사의 21년 예상 BPS 26,274원에 씨젠 21년 예상 P/B의 40%를 할인한 2.82배, 74,000원을 목표가로 제시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듯 시총 8조 원(주당 78,000원)은 코스피 200 특례 편입의 기준선이다. 만약 80,000원에 안착하면 오히려 주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2021.07.05 - [제약바이오. 무슨 말인지부터] -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씨젠(096530)과의 차이점은?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씨젠(096530)과의 차이점은?

1. 올해 들어 벌어진 두 회사의 실적 갭 오늘부터 내일까지 에스디바이오센서 기관 수요예측이 있다. 희망 공모가 하단 기준 시가총액은 4.6 조 원으로 체외진단 대장주인 씨젠(096530) 시가총액 4.4

mujinfamily.tistory.com

 

2021.07.09 - [공모주. 청약부터 매매까지] -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7/8~7/9 청약. 투자설명서 대신 읽어드립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7/8~7/9 청약. 투자설명서 대신 읽어드립니다.

결론: 참여합시다. 이미 기업 설명 내용은 이전 포스팅 2021.07.05 - [제약바이오. 무슨 말인지부터] -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씨젠(096530)과의 차이점은? 에서 다루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은 에스

mujinfamil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