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스트(377030) 7/12~7/13 기관 수요예측. 가능한 높여 쓰고 확약도 걸자공모주. 청약부터 매매까지 2021. 7. 13. 13:33
0. 메타버스 관련주를 하나 보유하고 싶다면
메타버스란 간단히 가상현실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세계를 일컫는 말이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은 메타버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증강현실(AR) 기술로 국내 1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맥스트(377030)가 기술성 특례 상장으로 7월 12일과 7월 13일 IPO를 위한 기관 수요예측이 진행된다.
AR/VR 시장이 디스플레이 기기 및 하드웨어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5G 보급이 가속화되고,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할 수록 소프트웨어 시장의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동사는 증강 현실 기반으로 2010년 설립 초부터 '포켓위드미', '뽀친사'와 같은 증강현실 관련 앱을 개발해 왔다. 2015년에는 자동차 사용 설명서를 증강현실을 적용한 앱으로 만들어 자동차 내부에 스마트폰에서 해당 앱을 실행하면, 그 부분의 기능과 사용법이 화면에 뜨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증강현실 기반 영상통화(VIVAR) 솔루션과 스마트안경 등을 출시하면서 2017년 CES에서는 증강현실 분야에서 유일한 한국 기업으로 참여했다.
메타버스 관련주 중 VFX(시각효과) 대장주인 자이언트스텝(239220)에 이어, 증강현실 기술력 국내 1위로 평가받는 맥스트 상장으로, 투자자들의 선택지는 더욱 넓어질 것으로 본다. 정부에서 적극 투자를 장려하고 있는 분야인 만큼 기관 수요 예측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1. 주요 사업 영역
그림 1. 맥스트 기술 집중 연구 분야 증강 현실은 자율 주행 부분과 일부 기술이 겹치는 분야이지만, 자율 주행 만큼 고도의 민감함이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와 몇 개의 센서만 가지고 충분히 기술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동사가 집중하는 연구 분야이다.
1.1 AR 개발 플랫폼(AR SDK:AR Software Development Kit)
AR 개발자들을 위한 툴킷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앱 형태로 제공한다. 2012년 WIS에서 첫 SDK를 선보인 이후 꾸준하게 제품을 출시하고 업데이트하면서 발전시켜왔지만, 아직은 작은 시장이다. 전체 시장 규모는 2019년에 당사가 추정한 자료로, 2018년 1억 2,7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했고, 국내 시장은 28억 원이었다. 국내 AR 플랫폼 시장은 동사가 독점하고 있다시피 하다. 다만, 비즈니스 모델이 동사의 유료 툴킷 앱을 개발자들이 구매하고 이익을 수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현재 구조로서는 다양한 수익 창출과 시장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1.2 산업용 AR 솔루션
플랫폼 형태로 고객에게 제공하여, 고객사에서 스스로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AR매뉴얼을 제작하고 적용 대상을 확대해 나가도록 돕는 방식으로, AR 개발 플랫폼과 다르게 사용량에 따라 라이선스 비용을 과금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 AR 솔루션 공급에 집중하고 있으며, 설비관리-조립-수리-훈련 영역에서 작업 시간 감소, 작업 정확도 상승 등의 목적으로, 현재 삼성전자, 현대차, KT, 대우조선해양 등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림 2. AR 솔루션의 주요 기능(동사 투자설명서 발췌) 2. 오비고(352910)처럼 숫자는 안 나오지만, 당장 숫자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정부의 지원 산업은 다른 말로 하자면, 당장 숫자로 보여줄 것은 없어도 투자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산업을 뜻한다. 맥스트가 아무리 증강현실 기술력에서 1위를 평가받고 있는다 하더라도,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AR 개발 툴킷 팔고 유료 앱 결제 매출이 전부였다. AR 개발 플랫폼 서비스에서 AR솔루션으로 무게추가 옮겨감에 따라 사용량에 따른 라이선스 비용 과금 체계, 월 구독료 형태의 수익 구조가 생기면서 매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매출은 2020년 기준으로 20억 원에 불과하다. 현실적으로 와닿는 것은 아직 없고, 메타버스의 세계가 온다 해도, 누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냐의 고민은 항상 따르기 마련이다.
그림 3. AR/VR Platform waves(동사 투자설명서 발췌) 공모주 청약의 입장에서는 기술성 평가로 올라오는 만큼 너무 먼 미래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 AR솔루션 사업부에서 지속적으로 매출이 발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수익 비중이 계속 커지고 있는 만큼 숫자에 대한 걱정은 덜어내도록 하자.
3. 공모 구조 청약자 친화적
희망공모가는 11,000원~13,000원이며 시총 기준으로 939억 원~ 1,110 억 원이다. 모집 총액은 130억 원의 마이크로 딜이며, 수요예측 참여 기관의 확약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통 가능 물량은 시총 기준으로 359억 원, 276만 주, 전체 발행주식수의 32.3%로 부담스럽지 않다.
4. 최근 10년간 뉴스플로우 정리
그림 4. 맥스트 창립(2010년) 이후 뉴스플로우 정리 '공모주. 청약부터 매매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브리봇(270660) 7/19~7/20 청약. 투자설명서 대신 읽어 드립니다. (2) 2021.07.19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7/16 상장. 체외 진단 대장주 결정의 날 (0) 2021.07.14 오비고 (352910) 7/13 상장. 주당 23,000 원까지는 보자 (1) 2021.07.12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7/8~7/9 청약. 투자설명서 대신 읽어드립니다. (1) 2021.07.09 공모주 청약은 그냥 하세요 (0) 202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