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035720)_Volume momentum_250306계량분석. 펀더멘털까지 2025. 3. 7. 08:19
그림 1. 카카오 최근 1년 주가 및 거래량 흐름 최근 카카오의 거래량 증가와 주가 상승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몇 가지 주요 상승 요인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오픈AI와의 협력 강화 → AI 기대감 반영
- 카카오의 "선물하기" 기능이 오픈AI 오퍼레이터에 탑재됨으로써 커머스 부문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평가
- 오픈AI와의 공동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 기능이 카카오톡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카톡 체류시간 증가 및 광고 매출 성장으로 이어질 전망
- AI 관련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중장기 성장성 부각
2. 카카오톡 체류시간 증가 전망 → 광고 매출 기대감
- 현재 카카오톡 평균 실행당 체류시간이 1.1분인데, AI 에이전트 적용 시 1.8분 이상으로 증가할 가능성
- 체류시간 증가로 인해 톡비즈 광고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26년 이후 연 1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광고 매출 확대가 카카오의 전체 실적 개선을 이끌 요소
3. 최근 IT·AI 관련주 강세 트렌드
- 글로벌 AI 열풍 속에서 AI 관련 협업을 진행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하는 흐름
- 네이버 등 주요 IT 기업들도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카카오도 AI 테마에 포함되며 동반 상승
카카오의 "선물하기" 기능이 오픈AI 오퍼레이터에 탑재됨으로써 커머스 부문의 가치가 높아지는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오픈AI 오퍼레이터란?
오픈AI 오퍼레이터는 GPT-4 등 AI 모델이 특정 서비스(앱, 기능)와 연결되어 사용자를 대신해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AI가 사용자의 대화를 분석해 특정 행동(예: 쇼핑 추천, 결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카카오 "선물하기" 기능이 오퍼레이터에 탑재되면?
이 기능이 오픈AI 오퍼레이터에 연동되면 AI 기반의 개인화 추천 및 자동화된 구매 프로세스가 강화됩니다.
(1) 개인 맞춤형 추천 강화
- 기존 선물하기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선물을 검색해야 하지만, AI가 카카오톡 대화 내역(개인정보 동의 하에)을 분석하여 상대방이 원하는 선물을 자동 추천합니다.
- 예시: "아내가 최근 커피 머신을 사고 싶다고 했어." → AI가 관련 제품을 자동 추천
- 효과: 소비자 구매 전환율(Conversion Rate) 증가 → 커머스 매출 증가
(2) 카카오톡-오픈AI 연계로 유입 확대
- 챗GPT 사용자가 선물하기 기능을 직접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 기존에는 카카오톡 내에서만 사용하던 기능을 오픈AI 오퍼레이터를 통해 더 넓은 플랫폼으로 확장합니다.
- AI가 구매를 대신 수행할 수도 있음.
- "아내 생일이 다가와요. 지난번 대화에서 원했던 아이템을 선물할까요?" → AI가 직접 결제 페이지로 유도.
- 효과: 신규 고객 유입 증가 → GMV(총 거래액) 증가
(3) 선물하기 구매 빈도 및 가격 상승 효과
- AI는 이전 구매 히스토리, 대화 맥락, 캘린더 일정을 바탕으로 구매 타이밍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다음 주에 친구 생일이 있네요. 좋아할만한 선물을 추천해드릴까요?"
- "지난달에도 비슷한 제품을 선물했어요. 이번에는 조금 더 고급 옵션을 추천할게요."
- AI가 소비자의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 구매 단가(Blended Price)를 높이는 역할
- 효과: 단순 구매 빈도가 아닌 객단가(ARPU) 증가 → 매출 성장
3. 커머스 부문의 적정가치가 상승하는 이유
(1) 기존 커머스 대비 차별화된 AI 연계 비즈니스
- 기존 카카오 선물하기는 수동 검색 & 구매 방식이었지만, AI 기반으로 능동적 추천 & 자동 구매 유도가 가능
- 광고 기반(B2B) 매출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판매(B2C) 매출을 확대할 가능성
(2) AI 활용으로 커머스 수익성 개선
- AI 기반 추천이 적용되면 단순 검색 광고보다 효율적인 판매 가능
- 선물하기 추천을 통해 광고주(입점 업체)들이 더 높은 광고비를 지불할 가능성 증가
- AI 추천이 정밀해질수록 광고 전환율(CTR) 및 ROAS(광고 투자 대비 수익) 증가
- 결과: 수익성 개선 → EV/EBITDA(기업가치 대비 이익) 멀티플 상승
(3) 오픈AI와의 협업으로 글로벌 확장 가능성
- 오픈AI는 해외 사용자가 많음 → 카카오의 글로벌 진출 기회
- 해외 MAU 증가 → 글로벌 커머스 확장 가능성 →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가치 증가
결론: 오픈AI 오퍼레이터 연계로 카카오 커머스가 좋아지는 프로세스
- AI가 대화를 분석해 맞춤형 선물 추천 → 구매 전환율 상승.
- 챗GPT 사용자까지 유입 가능 → 신규 시장 개척 & 거래액 증가.
- 구매 빈도 & 가격 상승 → 커머스 부문의 수익성 증가.
- AI 기반 추천 광고 도입 → 광고 매출 증대.
- 오픈AI 협업으로 글로벌 확장 가능 → 기업가치 상승.
즉, 단순한 '선물하기' 기능이 아니라, AI 기반으로 소비자 행동을 예측하고 구매를 유도하는 '커머스 자동화'로 발전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입니다.
'계량분석. 펀더멘털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066570)_Volume momentum_250312 (2) 2025.03.12 메리츠금융지주(138040)_Volume momentum_250310 (24) 2025.03.10 롯데지주(004990)_Price momentum_250306 (24) 2025.03.06 에이피알(278470)_Price & Volume momentum_250228 (12) 2025.02.28 현대로템(064350)_Price & Volume momentum_250224 (1)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