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큐라클 (365270) 7/22 상장. 30,000원 이하 추가 매수 추천공모주. 청약부터 매매까지 2021. 7. 21. 15:16
1. 기업가치는? 주당 45,000원. 시가총액 6,000억 원 평가
그림 1. 큐라클 설립 이후 투자 유치후 기업가치 변화 압타바이오와 상대 비교를 통해 동사의 기업 가치를 시가총액 6,000억 원과 주당 45,000 원으로 평가한다. 임상 진척이 가장 빠른 당뇨병성신증은 현재 국내 2상a 결과 발표 후 2상b를 준비 중이다. 비슷한 저분자 화합물로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를 개발 중인 압타바이오는 유럽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결과는 2021년 10월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미국 임상 2상은 2021년 3월 FDA 승인이 난 상태이다.
같은 임상 2상이라는 측면에서 압타바이오와 큰 차이는 없으나, 압타바이오의 APX-115가 1) 임상 규모가 더 크고, 2) 글로벌 임상(유럽, 미국)이라는 점, 3) APX-115가 플랫폼으로서 코로나 치료제로도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압타바이오의 기업가치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고 평가한다. 현재 압타바이오의 시가총액은 7,000~8,000억 원 수준에 형성돼 있으므로 동사의 기업가치는 이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향후 SOLVADYS®의 플랫폼 가치를 증명할 필요가 있다. 현재 SOLVADYS® 기술로 미국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는 당뇨황반부종 치료제 CU06-RE의 임상 경과를 지켜보고, 향후 적응증의 확장 여부도 기업가치 제고의 중요한 Key-point이다. 상장 이후 하반기 안에 CU06-RE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 기대감도 있기 때문에 회사가 잘하기만 한다면 상장 후 주가 모멘텀은 충분하다.
2. 상장 후 2021년 말까지 이벤트
2.1 기업 이벤트
'21년 하반기 - CU06-RE(당뇨황반부종) L/O 기대
'21년 하반기 - CU01(당뇨병성 신증) 국내 임상 2b IND 신청
'21년 12월 - CU03 임상2a 완료
2.2 주식 이벤트
상장후부터 - 주식매수선택권 114,000주 행사 가능(행사 가격 1,410원, Deep In The Money 상태)
8월 23일 - 1개월 보호예수물량 해제일(IPO 이전 기존 주주 - 3,229,310 주, 공모주 기관 - 63,617 주, 3,292,927주)
2. 시장 및 섹터 분위기는?
그림. 2020년 이후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 시총 변화 주식시장은 현재 뚜렷한 모멘텀도 없으며, 섹터 내에서도 세분화된 일부 테마에서만 강세를 보이는 상태이다. 연초 300조 원에 이르렀던 제약/바이오 섹터 시총은 연 중 20% 정도 조정을 보인 후 완만하게 상승국면을 그리고 있다. 아직 뚜렷한 모멘텀은 없는 상황이다. 5~6월부터 CDMO를 필두로 mRNA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다가, 델타 변이 확산으로 다시 진단 관련 기업, 이후 개별 종목 장세를 보이고 있다.
3. 비교기업 주가 흐름. 압타바이오(293780)
그림. 압타바이오 연초이후 주가 흐름 압타바이오는 오는 10월 APX-115(당뇨병성신증) 임상 2상 결과 발표가 예정돼 있다. 코로나 치료제로도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같은 APX-115로 진행하고 있다. 당뇨병성신증과 코로나 치료제가 같은 물질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이유는 동사가 기본적으로 NOX 저해제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NOX는 NADPH Oxidase의 약자로, 체내 활성산소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어떤 질병이 총이라면, 활성산소는 총알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총알을 불활성화 하는 개념으로 치료제를 만드는 회사가 압타바이오이다.
주가 흐름은 연초 이후 50,000~80,000원 사이를 오가고 있으며, 최근 변동성이 확대된 모습이다. 임상 2상 결과 발표와 라이선스 아웃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이다.
4. 수급분석: 제약/바이오 섹터임을 고려해도 부담스러운 수준
4.1 상장일 장 전 주주 구성
그림. 큐라클 상장일 장 전 주주 구성 그림. 큐라클 상장일 유통가능 물량 유통가능 물량은 수량 기준 5,254,505주, 공모가 기준 시총으로는 1,314억 원으로 스몰캡 제약/바이오 종목 치고는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기존 주주 물량이 333만 주이고 이들이 모두 기존 유상증자에 참여했던 투자자라고 가정한다면, 공모가에서도 충분히 높은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4.2 청약 주체별 배정 물량 추정
그림. 경쟁률은 높은 편이나 기관 미확약 물량은 부담스럽다 스몰딜에서 기관 미확약 물량이 법인당 30,000,000원 수준이라면 이 역시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해당 법인이 에스디바이오센서 확약 물량을 담고 있다면, 이익 확정의 욕구가 커질 것이므로, 장초에 많은 물량을 정리할 것으로 판단한다.
5. 결론: '따상'은 기대하지 말자. 25,000~30,000원 추가 매수 추천
개인 청약자 입장에서는 이번 공모에서 많은 물량을 배정받지는 못했을 것이다. 평균 2주 정도 배정받았을 것으로 추정하며, 회사를 좋게 봤다면, 굳이 서둘러 매도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유통가능 물량이 크고, 기존 주주들과 공모에 참여한 기관들의 수익 확정 욕구가 큰 만큼, 서둘러 매도하지 말고 오히려, 공모가 부근에서 주가가 형성된다면 추가 매수도 고려해볼 수 있다. 단, '따상'을 기대하지는 말자.
2021.06.23 - [제약바이오. 무슨 말인지부터] - 큐라클 7월 상장. 군더더기 하나 없는 깔끔한 임상 진행이 돋보인다
큐라클 7월 상장. 군더더기 하나 없는 깔끔한 임상 진행이 돋보인다
오랜만에 퓨어 바이오 업체가 상장을 앞두고 있다. 7월 수요예측을 진행에 상장을 앞두고 있는 큐라클이라는 회사로, 2016년 5월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권영근 교수가 설립했다. 이후 JNT인베스트
mujinfamily.tistory.com
2021.07.03 - [제약바이오. 무슨 말인지부터] - 큐라클 (365270) 파이프라인 분석1. CU01-1001
큐라클 (365270) 파이프라인 분석1. CU01-1001
* 이전 포스팅에서 큐라클을 퓨어 바이오테크로 소개했는데, 퓨어 신약 개발 회사로 정정하겠다. 1. 큐라클은 혈관 치료제 개발 회사 동사의 파이프라인을 아우르는 치료 분야는 혈관 손상이다.
mujinfamily.tistory.com
2021.07.07 - [제약바이오. 무슨 말인지부터] - 큐라클 (365270) 파이프라인 분석2. 압타바이오(293780)가 떠오른다
큐라클 (365270) 파이프라인 분석2. 압타바이오(293780)가 떠오른다
1. 파이프라인의 전체적인 느낌: 압타바이오(293780)가 떠오른다. 오늘과 내일이 큐라클 기관 수요예측일이어서, SOLVADYS®를 이야기 하기 전에 상장회사 중에 어떤 회사가 있을지 생각해 보았다. 1)
mujinfamily.tistory.com
본 블로그에서 큐라클과 관련한 포스팅이 여러 개 있으므로 관련 글들을 먼저 첨부한다.
'공모주. 청약부터 매매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브리봇 (270660) 7/28 상장. 기준가는 공모가네요..ㅠ(수정) (0) 2021.07.27 맥스트 (377030) 7/27 상장. 공모가 시총 1,280억 원의 메타버스 기업 (1) 2021.07.26 카카오뱅크(323410), 밸류에이션보다 받아 줄 수요가 있다는 게 더 중요하다 (4) 2021.07.20 에브리봇(270660) 7/19~7/20 청약. 투자설명서 대신 읽어 드립니다. (2) 2021.07.19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7/16 상장. 체외 진단 대장주 결정의 날 (0) 202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