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풀무원(017810)_Price momentum_250210
    계량분석. 펀더멘털까지 2025. 2. 10. 15:24

    그림 1. 풀무원 최근 1년 주가 및 거래량

     

    풀무원은 최근 '21년부터 실적이 야무지게 성장한 회사입니다. 2024년 연결실적 기준으로 영업이익 921억원을 기록했고, 전년동기대비 48.6% 나 성장했습니다. 그런 회사가 현재 시가총액은 5,000억 원입니다. 주가 상으로만 보면 '24년 2분기에 실적 상승세를 반영한 주가 상승이 한번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24년 초반 주가 수준으로 회귀했다가 다시 Price momentum 시그널을 동반한 상승이 나왔습니다.

    그림 2. 풀무원 최근 5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 흐름


    풀무원이 주가가 눌려있었던 이유? 바로 부채

    풀무원은 부채 중 전환사채 및 신종자본증권 비중이 높아 상환 부담이 주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전환사채(CB)

    • 70회 전환사채(400억 원, 전환가액 11,319원, '24년 9월 전환 가능)
    • 71회 전환사채(600억 원, 전환가액 11,319원, '26년 9월 전환 가능)
    • 72회 채권형 신종자본증권(700억 원, '24년 7월 발행)​

    (2) 신종자본증권(하이브리드채)

    • 3,255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이 있으며, 이는 자본으로 분류되지만 차환 부담
    • '25~'26년 사이에 변동금리 적용되는 신종자본증권이 다수 존재

    향후 전망 및 리스크

    • CAPEX(설비투자) 지출을 EBITDA의 50% 이내로 통제하여 재무 부담 완화 시도
    • 해외법인의 흑자 전환이 가시화될 경우 차입금 상환에 기여 가능
    • 미국과 중국 법인의 수익성 개선이 부채 축소의 핵심 변수

    📌 결론

     높은 부채비율, 차입금 부담, 이자 비용 증가 가능성 등으로 인해 상당한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해외법인의 흑자 전환이 성공할 경우 부채 부담 완화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부채비율 개선의 관건은 해외 법인 성장

    풀무원의 해외 사업은 '24년 적자 축소를 거쳐 '25년부터 **턴어라운드(흑자 전환)**가 기대된다. 특히 미국 법인의 수익성 개선이 주요한 성장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1. '25년 해외법인 실적 전망

    구분 '24년 매출(E) '25년 매출(예상) 비고
    해외 전체 6,350억 원 7,400억 원 (+16.5% YoY) 흑자 전환 기대
    미국 4,750억 원 5,800억 원 (+22.1% YoY) BEP(손익분기점) 도달 및 흑자 전환
    중국 860억 원 970억 원 (+12.8% YoY) BEP 유지, 소폭 흑자 가능
    일본 740억 원 680억 원 (-8.1% YoY) 저수익 채널 정리로 매출 감소, 수익성 개선

    👉 미국과 중국이 성장 핵심, 일본은 구조조정​.


    2. 국가별 실적 전망

    (1) 미국 사업 (2025년 핵심 성장 동력)

    • 2025년 예상 매출 5,800억 원 (+22.1% YoY)
    • BEP(손익분기점) 도달 및 흑자 전환 예상
    • 현지 회원제 유통채널(Premium Club, 코스트코 등) 확대
    • Asian Foods 제품군(떡볶이, 핫도그 등) 매출 증가
      • '24년 57% 성장, '25년 추가 확대 기대
    • 현지 공장 가동률 증가로 원가 절감 효과 발생
    • 미국 내 대체육(Plant-Based) 시장 확대로 신제품 개발 중​.

    (2) 중국 사업 (안정적 성장)

    • '25년 예상 매출 970억 원 (+12.8% YoY)
    • BEP 유지, 소폭 흑자 전환 가능
    • 주력 제품: 두부, 면류, 냉동만두
    • 채식 인구 증가로 인한 두부 제품군 확대
    • 중국 내 현지 유통망 강화 (O2O 및 배달 플랫폼 연계 확대)​.

    (3) 일본 사업 (매출 감소, 수익성 개선)

    • '25년 예상 매출 680억 원 (-8.1% YoY)
    • 저수익 채널 정리 및 사업 효율화 진행
    • 유부, 두부 제품 고급화 전략
    • 일본 법인의 지속적인 디마케팅(저수익 채널 정리) 작업으로 매출 감소 예상
    •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 목표​.

    3. 주요 성장 요인

    K-푸드 확산: 한식에 대한 글로벌 관심 증가로 해외 매출 지속 성장
    미국 시장 공략: 아시안 푸드 인기 상승, 미국 내 두부 시장 확대
    공장 가동률 증가: 미국 현지 생산 확대, 물류 비용 절감 효과 기대
    구조조정 진행: 일본 시장 저수익 채널 정리, 중국 사업 안정적 운영


    📌 결론

    • 2025년 해외사업 매출 7,400억 원 전망 (전년 대비 +16.5%)
    • 미국 법인은 BEP 도달 및 흑자 전환 가능성 높음
    • 중국 법인은 안정적 성장, 일본 법인은 구조조정 지속
    • 전반적으로 해외법인 적자 탈출이 기대되며, 풀무원의 재무구조 개선에도 기여할 전망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