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_Price & Volume momentum, 250218계량분석. 펀더멘털까지 2025. 2. 18. 08:41
그림 1.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최근 1년 주가 및 거래량 흐름 이수스페셜티케미컬(ISU Specialty Chemicals)은 고부가가치 화학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주요 사업 영역은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정밀화학 부문입니다.
🔹 주요 사업 분야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화학소재
- TDM(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 반도체 웨이퍼 세정 및 식각(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고순도 화학물질 - IPA(이소프로필알코올)·HMDS(헥사메틸디실라잔)
→ 반도체·디스플레이 세정 및 표면 처리에 사용
- TDM(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 배터리 소재
- 황화리튬(Li₂S, Lithium Sulfide)
→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의 핵심 소재
→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 수명, 에너지 밀도 향상 기대
- 황화리튬(Li₂S, Lithium Sulfide)
- 정밀화학 및 의약소재
- 고기능성 계면활성제
→ 화장품, 제약, 전자재료 등에 사용 - 폴리우레탄 원료(TDI 등)
→ 자동차, 건축, 가구 등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핵심 원료
- 고기능성 계면활성제
🔹 최근 주목 받는 이유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기존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강점을 살리면서, 배터리·첨단소재 사업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는 회사입니다.
최근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주목받는 이유는 차세대 배터리 소재인 황화리튬(Li₂S) 생산과 관련된 기대감 때문입니다. 황화리튬은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을 만드는 핵심 원재료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 수명, 에너지 밀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에 사용되는 황화리튬 파일럿 라인 구축을 시작하며 관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24년 10월 국내 전해질 생산 전문업체인 동화일레트로라이트와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 개발 협력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12월에는 중국석유물자유한공사(CPMC)로부터 TDM 공급 입찰에서 낙찰자로 선정되어 중국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이수그룹과의 관계
- 이수그룹은 화학, 바이오, 건설,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있는 중견기업 그룹
-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이수화학의 정밀화학사업부에서 2018년 분사
- 현재 이수화학이 최대주주(지분 57.97%)
- 이수그룹 내에서 반도체·배터리 소재 전문 회사 역할 수행
🔹 이수그룹 내 주요 계열사
이수화학 석유화학(폴리우레탄 원료 TDI 등)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정밀화학 이수건설 건설·토목·플랜트 이수페타시스 반도체·통신용 고다층 PCB 이수앱지스 바이오의약품(희귀질환 치료제)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중장기 로드맵
🔹 1.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의 사업 구조 및 성장 전략
- 전고체 배터리 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₂S) 양산화
- 2024년 40톤 규모의 데모 플랜트 구축 완료
- 2025년 이후 상업 생산 확대 및 글로벌 고객사 테스트 진행
- 삼성SDI(2027), SK On(2029), LG에너지솔루션(2030)의 전고체 배터리 양산 로드맵과 맞물려 수요 증가 예상
- 현재 국내외 주요 고체 전해질 개발 기업들과 MOU 체결(에코프로비엠,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희성촉매, Solid Power 등)
- 정밀화학 사업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
- TDM(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지속적인 수요
- D-SOL, IPA, Base-Oil 등 기존 제품들의 안정적인 매출 유지
- **이수엑사켐 합병(2024년 2분기)**을 통해 영업력 강화 및 판매 네트워크 확대
🔹 2. 전고체 배터리 시장과 황화리튬 수요 전망
- 전고체 배터리 시장은 2027년 이후 본격적으로 개화될 전망
- 2027년 10GWh → 2035년 641GWh까지 성장 전망
- 황화리튬(Li₂S) 수요도 2027년 364MT → 2035년 51,313MT로 급증 예상
- 현재 황화리튬 가격은 약 12,000달러/kg 수준이지만,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50달러/kg 이하로 낮아져야 함
-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의 목표: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 및 경제성 확보
🔹 3.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의 경쟁력
- 황화수소(H₂S) 핸들링 기술 보유
- 황화리튬 생산의 핵심 공정인 황화수소 대량 생산 기술을 확보
- 자체 반응 공정으로 불순물 최소화 → 고순도 황화리튬 제조 가능
- KBR(미국 엔지니어링 기업)과 신공법 공동개발 진행 중
- 전고체 배터리 기업들과 협업 확대
- 2020년 산업부 국책과제 참여 → 이후 지속적인 MOU 체결 및 시제품 공급
- 국내외 전고체 배터리 및 고체 전해질 제조사들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 확장
- 일본 및 국내 초기 수요 대응 → 이후 글로벌 시장(미국, 유럽)으로 확장 계획
- 생산량 확충 및 고객사 전략에 맞춘 생산 확대 가능성
'계량분석. 펀더멘털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피알(278470)_Price & Volume momentum_250228 (12) 2025.02.28 현대로템(064350)_Price & Volume momentum_250224 (1) 2025.02.24 삼성증권(016360)_Price momentum_250217 (4) 2025.02.17 풀무원(017810)_Price momentum_250210 (1) 2025.02.10 더존비즈온_012510_Price, Volume momentum_250207 (3) 2025.02.07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화학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