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1년 7월 15일 베스트 보고서 Top3
    애널리스트 보고서 리뷰 2021. 7. 15. 08:52

    1. IT- 아이폰 슈퍼사이클 기대(KB 증권, 김동원 연구원)

    [Summary]

    - 애플은 올해 9월 출시할 아이폰 13 초기 생산량을 기존 대비 +20% 상향한 9천만대로 결정했다.

    - OLED 패널 초기 주문량도 1.2억 대로 기존 대비 +20% 확대 예상한다. 삼디 7천만 대, LGD 5천만 대 공급을 추정한다.

    - 애플은 1) 아이폰 교체주기 도래('20~'22년), 2) '22년 메타버스용 XR 기기 출시, 3) '24년 애플 카 출시를 앞두고 있다.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의 주가 재평가를 기대한다.

     

    [Review]

    - 최근 주식시장이 단기적으로 정체 국면에 접어들면서 개별종목 장세로 전환 중이다. 애플의 이번 블룸버그 뉴스는 오늘 애플 벤더 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외국인의 수급이 뒷받침이 있어야 상승이 가능할 것이므로 순수 애플 벤더에 접근하는 것이 더 좋아 보인다.

     

    2. 에코프로비엠(247540)- 22년, 23년 실적 추정치 대폭 상향(유안타 증권, 김광진 연구원)

    그림 1. 에코프로비엠 연초 이후 주가 흐름

     

    [Summary]

    - 국내 배터리 3사 중 2개사(SK이노베이션, 삼성SDI) 양극재 메인 벤더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성장 보여줄 것이다.

    - SK이노베이션을 통해 포드 F150 라이트닝용 NCM9.5.5 공급 예정인데, 픽업트럭 특성상 소재 단독 사용이 유력하다.

    - 포드 F150라이트닝 연 20만 대 판매 가정 시 매출 상승효과는 6,500억 원 수준이다.

    [Review]

    - 최근 연기금과 외국인의 탑픽은 2차전지이며, 그중에서도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와 같은 양극재 업체이다. 에코프로비엠은 이전 보고서 리뷰에도 소개한 기업으로, 현재 시장에서 소외받고 있다고 느낀다면 이차전지 양극재 업체(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하나 정도는 편입하기를 추천한다.

     

    3. 고려아연(010130)- 조명받기 시작한 신성장 동력(유진투자증권, 방민진 연구원)

    그림 2. 고려아연 연초이후 주가 흐름

    [Summary]

    - 2차전지 소재를 신성장 동력으로 설정, 양극재용 환산니켈 제조사 켐코 지분 35%를 보유해 지난해 전해동박 사업에 진출했다.

    - 구리와 전지급황산 등 전해동박 핵심 원재료를 자체 조달할 수 있고, 전기분해 공정에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시장 조기 안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최근 LG화학과 양극재 원료인 전구체 생산을 위한 기술적 제휴를 체결한 것으로 파악된다. LG화학이 '25년 양극재 26만 톤 수요를 동사가 전량 커버한다고 가정 시 매출은 2.5조 원, 영업마진은 1,50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한다.

    - 내년 전해동박 사업만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기존 기업 가치에 1조 원 이상을 추가해야 할 것이다.

     

    [Review]

    - 주요 증권사에서 IT, 바이오, 전기차를 7월 주요 탑픽으로 제시한 바 있는데, 현재 그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섹터는 전기차가 유일한 거 같다. 바이오는 델타 변이 확산으로 CDMO에서 진단으로 분위기가 넘어오면서 갈팡질팡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IT 역시 삼성전자 실적 발표 이후 더욱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이다.

    - 고려아연은 한 번만 봐서는 사업 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운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양극재의 본격화는 아연, 은 가격, 제련수수료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수익성이 결정되는 디스카운트 요소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